테슬라 CEO 머스크 “내년에 ‘전자두뇌’ 인체 적용 희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9-07-17 23:25 조회2,85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사진)가 꿈꾸는 ‘전자 두뇌’는 실현될 수 있을까.
머스크는 16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바이오 스타트업 뉴럴링크의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안에 첫 번째 피실험자에게 두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뉴럴레이스’ 기술을 적용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고 CNBC방송 등이 보도했다. 뉴럴링크는 2016년 머스크가 1억달러(약 1180억원)를 들여 설립한 회사다. 뉴럴레이스 기술은 사람의 뇌에 아주 작은 전극, 즉 인공지능(AI) 칩을 이식해 뇌신경과 컴퓨터를 연결한다. 사람의 생각을 다운로드하거나 디지털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다.
뉴럴레이스 기술이 구현되어야만 인간이 AI에 지배당하지 않고 공생할 수 있다는 것이 머스크의 생각이다. 초기 단계에서는 ‘질병 치료’에 집중할 계획이다. 머스크는 이날 “뇌졸중, 암 등으로 심각한 뇌 손상을 입은 환자들에게 (신체활동, 의사소통, 기억 저장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AI와 관련된 문명으로서 인류의 미래를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현재 뉴럴링크는 미 식품의약국(FDA)의 임상시험 허가를 기다리고 있다. 실험용 쥐와 원숭이의 뇌에 칩을 이식해 컴퓨터와 연결하는 실험을 마친 상태다. 머스크는 “원숭이가 두뇌로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사람의 뇌와 컴퓨터를 연결한다는 구상은 1984년 미국의 공상과학 소설가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에 등장했다. 소설이 현실이 되는 건 뇌 속에 칩을 심는 기술이 얼마나 정교한지에 달렸다. 뉴럴링크는 신경외과 전문의들과 수술용 드릴 대신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라식 수술처럼” 쉽고 안전하게 만들겠다고 했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7172125005&code=970201#csidxb40e25b7ced150ba55fbbbcd174328d
머스크는 16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바이오 스타트업 뉴럴링크의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안에 첫 번째 피실험자에게 두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뉴럴레이스’ 기술을 적용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고 CNBC방송 등이 보도했다. 뉴럴링크는 2016년 머스크가 1억달러(약 1180억원)를 들여 설립한 회사다. 뉴럴레이스 기술은 사람의 뇌에 아주 작은 전극, 즉 인공지능(AI) 칩을 이식해 뇌신경과 컴퓨터를 연결한다. 사람의 생각을 다운로드하거나 디지털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다.
뉴럴레이스 기술이 구현되어야만 인간이 AI에 지배당하지 않고 공생할 수 있다는 것이 머스크의 생각이다. 초기 단계에서는 ‘질병 치료’에 집중할 계획이다. 머스크는 이날 “뇌졸중, 암 등으로 심각한 뇌 손상을 입은 환자들에게 (신체활동, 의사소통, 기억 저장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AI와 관련된 문명으로서 인류의 미래를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현재 뉴럴링크는 미 식품의약국(FDA)의 임상시험 허가를 기다리고 있다. 실험용 쥐와 원숭이의 뇌에 칩을 이식해 컴퓨터와 연결하는 실험을 마친 상태다. 머스크는 “원숭이가 두뇌로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사람의 뇌와 컴퓨터를 연결한다는 구상은 1984년 미국의 공상과학 소설가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에 등장했다. 소설이 현실이 되는 건 뇌 속에 칩을 심는 기술이 얼마나 정교한지에 달렸다. 뉴럴링크는 신경외과 전문의들과 수술용 드릴 대신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라식 수술처럼” 쉽고 안전하게 만들겠다고 했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7172125005&code=970201#csidxb40e25b7ced150ba55fbbbcd174328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