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페이지 열람 중
(위)화산 고원 등 유망 후보지 23곳 찾아내 나사의 화성 탐사선 퍼시비런스가 예제로 충돌구에서 찍은 회오리바람. 나사 제공 (아래)화성의 바람이 만든 모래언덕. 나사 제공 우주비행사 6명 쓸 전력 생산할 수 있어 태양전지 보완 넘어 완전한 대체도 가능 지난해 1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는 로봇탐사차가 화성에서 포착한 폭 25m, 높이 118m의 회오리 먼지바람 소리와 영상을 분석한 결과가 발표됐다. 지난해 9월 화성 로봇탐사차 퍼시비런스 앞에서 회오리바람이 일었을 때 공교롭게도 오디오와 카메라가 함께 켜진…
화성 마리너 계곡. /유럽우주국(ESA) 화성 적도 부근의 거대 협곡에서 전례 없이 많은 양의 물이 최첨단 탐사위성을 통해 관측됐다. 유럽우주국(ESA)과 러시아연방우주국(ROSCOMOS) 소속 연구원들로 꾸려진 공동 연구팀은 15일(현지 시각) 화성 탐사 궤도선이 관측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적도 부근의 마리너계곡에서 “상당한 수준의 물”을 발견했다고 CNN이 이날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이날 행성과학분야 학술지 이카루스에 게재했다. 엑소마스는 유럽우주국과 러시아연방우주국이 공동으로 진행하는 화성 탐사…
지난 25일(미국 동부시간) 화성 하늘에서 3차 비행에 성공한 인저뉴어티(빨간색 원). 초속 2m로 이동하며 첫 비행 이후 최고 속도를 기록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화성 무인헬기 ‘인저뉴어티’가 3차 비행에서 지구에서 시험해 본 적 없는 빠른 속도로 나는 데 성공했다. 체공시간도 역대 최장을 기록하며 지구 밖 천체에서의 동력비행이 순풍을 타고 있다. NASA는 미국 동부시간 지난 25일 오전 1시 31분(한국시간 25일 오후 2시 31분)에 인저뉴어티가 3차 비행에 성공했으며, 고도 5m까지 날아올랐다고 밝혔다. 앞…
우주 비행사가 우주에서 눈물을 흘리면 지면에서처럼 볼을 타고 흘러내리지 않습니다. 물은 무중력 환경 덕에 물방울을 형성하여 공중에 떠다닐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방울은 움직여질 때까지 표면에 맺히는 경향을 보입니다.[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1-08-05 06:16:42 comm3에서 복사 됨]
아폴로호의 우주 비행사가 공기 없는 달에 남긴 발자국과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선이 남긴 흔적은 거의 1억 년 동안 유지될 것입니다.[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1-08-05 06:16:42 comm3에서 복사 됨]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금성의 하루는 일 년보다 깁니다. 이 행성은 축을 기준으로 자전하는 데 243일이 걸리지만 태양 주변을 공전하는 데에는 고작 224.7일밖에 걸리지 않습니다.[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1-08-05 06:16:42 comm3에서 복사 됨]
태양은 전체 태양계의 거의 99.8%를 차지합니다. 이는 상대적으로 비교했을 때 백만 개의 지구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입니다.[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1-08-05 06:16:42 comm3에서 복사 됨]
음파가 이동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전달 매체입니다. 공기가 없는 우주에서는 소리가 이동할 수 없으므로 으스스할 정도로 고요한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주 비행사는 서로 무전으로 소통합니다.[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1-08-05 06:16:42 comm3에서 복사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