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마을보다 펭귄 6배 많은 '인익스프레시블 섬'…남극특별보호구역 지정
페이지 정보

본문
남극의 ‘인익스프레시블 섬(Inexpressible Island)’이 한국의 제안으로 남극의 특별보호구역으로 승인됐다. 이 섬은 세종기지 인근의 나브레스키 포인트(펭귄마을)에 이어 두 번째로 한국이 관리하는 남극의 보호구역이 됐다.
환경부는 지난 14~24일 프랑스 파리에서 온라인 비대면 회의로 열린 제43차 남극조약 협의 당사국회의에서 한국과 중국, 이탈리아가 공동 제안한 ‘인익스프레시블섬’에 대한 남극특별보호구역 지정이 승인됐다고 25일 밝혔다.
■펭귄마을보다 3배 넓고, 펭귄 둥지수도 6배 많은 섬
새로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인익스프레시블섬은 동남극 테라노바만에 위치해 있다. 한국의 장보고기지 인근이다. 환경부는 “2014년 장보고기지가 준공된 이래, 기지로부터 36㎞ 남쪽에 위치한 인익스프레시블섬의 아델리펭귄 군서지를 매년 모니터링 해 왔다”고 밝혔다.
이 곳은 만년빙의 끝에 위치해 대륙풍이 많이 부는 지역으로, 바다가 결빙되지 않는 폴리냐가 형성되는 특이 지형이다. 펭귄 등 해양동물이 먹이 활동을 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7000년 이상 아델리펭귄의 서식지였다. 섬이 위치한 남극의 로스해 자체도 전세계 아델리펭귄의 38%, 황제펭귄의 26%가 서식하는 세계 최대의 해양보호구역이다.
인익스프레시블 섬의 면적은 3.31㎢로, 2009년 한국이 제안해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세종기지 인근의 펭귄마을(0.98㎢)에 비해 3.4배 넓다. 남쉐틀랜드군도 킹조지섬 바톤반도에 위치한 펭귄마을에는 젠투펭귄 2460둥지, 턱끈펭귄 2416둥지 등 9종의 조류가 서식 중이다. 인익스프레시블 섬에 번식하는 펭귄 둥지수도 펭귄마을보다 6.4배 많은 3만개에 달한다. 보통 한 둥지당 2개의 알을 낳는 펭귄의 특성을 고려하면, 약 12만 마리의 펭귄이 서식하고 있다는 의미다. 아델리펭귄 외 표범, 웨델물범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최근 이 지역에 대한 관광 및 연구가 늘어나면서 한국, 중국, 이탈리아가 공동으로 2019년 보호구역 지정을 처음 제안했다. 한국과 이탈리아는 인익스프레시블 섬 인근에 기지를 갖고 있고, 중국의 경우 인익스프레시블 섬 내에 신규 기지 건설을 추진 중이어서 보호구역 지정 제안을 공동으로 추진하게 됐다.
■한국이 관리하는 두 번째 남극특별보호구역
남극특별보호구역은 남극의 환경적, 자연적, 과학적, 미학적 가치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다. 1961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을 비롯한 미국, 프랑스, 일본 등 16개국이 총 72곳의 남극특별보호구역을 지정했다.
남극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되기 위해선 ‘특별히 보호할 만한 가치가 존재’ 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환경·과학·역사·자연적 가치 중 하나 이상의 가치가 있고, 과학 탐사를 하기 위한 실익이 있어야 한다. 또 해당 구역을 실질적으로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관리계획서가 있어야 한다. 보호구역 지정 제안을 할 때부터 관리계획서를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보호구역으로 실제 지정이 되면 처음 제안을 한 국가가 생태계 조사와 환경관리, 출입자 통제 등의 역할을 맡게 된다.
인익스프레시블 섬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서 한국은 펭귄마을에 이어 두 번째 보호구역 관리를 맡게 됐다. 유호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은 “공동제안한 국가들과 협력해 인익스프레시블섬의 보호, 관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이전글가야 할 곳: 황제 펭귄과 남극물개들이 남극을 서식지로 살아가고 있다. 모험을 즐기는 사람들은 훌륭한 자연 환경에 입을 다물 수 없을 것이다. 21.07.01
- 다음글남극에서 스카이 다이빙 21.04.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