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괜찮다는데..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도 AZ 백신 접종 중단
페이지 정보

본문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학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로이터연합뉴스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이 15일(현지시간)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유럽 여러 나라에서 백신 접종 후 혈전반응을 보이며 사망한 사례가 나왔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보건 전문가들은 “혈전과 백신의 관련성은 입증되지 않았다”며 유럽이 3차 대유행 속에 접종을 중단한 것에 우려를 표했다. 유럽의약청(EMA)은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의 요구에 따라 조사를 거친 뒤 오는 18일 권고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옌스 슈판 독일 보건부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독일과 EU전문가들이 백신의 안전성을 추가 조사할 때까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 2차 접종을 일시중단하기로 했다”며 “백신 부작용이 접종 효과를 넘어서선 안된다”고 말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접종 중단을 발표하며 “백신 안전성 결과가 잘 나와서 빨리 접종을 재개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탈리아는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사망사건에 대해 검찰이 수사에 착수했고, 접종도 중단했다. 스페인도 접종 중단을 결정했다. 앞서 덴마크,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등을 포함해 유럽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중단한 나라는 18개국으로 늘었다.
보건전문가들은 백신의 부작용이 명확히 입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접종을 중단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우려했다. WHO는 이날 공식발표를 통해 “혈전 현상과 백신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입증되지 않았다”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계속 접종해도 된다는 우리의 입장은 변함없다”고 밝혔다. WHO 자문그룹에 속한 브리스톨대학의 아담 핀 교수는 BBC에 “접중중단은 바람직하지 않은 결정”이라며 “백신에 대한 신뢰를 훼손하고 장기적으로 많은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EMA도 “매년 수천명이 다른 이유로 혈전 현상을 보이고, 백신 접종 후 보고된 혈전반응은 일반적인 사례보다도 많지 않다”며 “백신접종의 부작용보다 이점이 훨씬 더 많다”고 말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유럽과 영국에서 백신을 접종한 1700만명의 사례를 분석해 발표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1700만명 중 15건의 심부정맥혈전과 22건의 폐색전증이 보고됐다”며 “일반적인 수준에서 나올 수 있는 반응보다도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국제혈전학회도 12일 “혈전과 백신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어 보인다”고 밝혔다.
유럽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이미 아스트라제네카사와 신뢰관계가 훼손됐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CNN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도입 초기부터 물량부족 문제로 EU와 갈등을 빚었고,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효과를 두고도 다시 마찰을 빚었으며 세번째로 접종중단 사태까지 왔다”고 전했다. 전염병 전문가인 카를 라우터바흐 독일 사민당의원은 가디언에 “접중중단은 실수”라며 정부의 결정을 비판했다. 그는 “접종을 중단하지 않고 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나았다”며 “코로나19 세번째 파동이 시작된 상황에서 백신 접종을 진행하는 것이 생명을 구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1100만회분 이상 접종한 영국은 백신접종을 지속하면서 자체 조사도 진행하고 있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103160833001&code=970205#csidxc56018f60defae8acc7ea9f9ad78ae4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이 15일(현지시간)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유럽 여러 나라에서 백신 접종 후 혈전반응을 보이며 사망한 사례가 나왔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보건 전문가들은 “혈전과 백신의 관련성은 입증되지 않았다”며 유럽이 3차 대유행 속에 접종을 중단한 것에 우려를 표했다. 유럽의약청(EMA)은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의 요구에 따라 조사를 거친 뒤 오는 18일 권고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옌스 슈판 독일 보건부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독일과 EU전문가들이 백신의 안전성을 추가 조사할 때까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 2차 접종을 일시중단하기로 했다”며 “백신 부작용이 접종 효과를 넘어서선 안된다”고 말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접종 중단을 발표하며 “백신 안전성 결과가 잘 나와서 빨리 접종을 재개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탈리아는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사망사건에 대해 검찰이 수사에 착수했고, 접종도 중단했다. 스페인도 접종 중단을 결정했다. 앞서 덴마크,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등을 포함해 유럽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중단한 나라는 18개국으로 늘었다.
보건전문가들은 백신의 부작용이 명확히 입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접종을 중단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우려했다. WHO는 이날 공식발표를 통해 “혈전 현상과 백신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입증되지 않았다”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계속 접종해도 된다는 우리의 입장은 변함없다”고 밝혔다. WHO 자문그룹에 속한 브리스톨대학의 아담 핀 교수는 BBC에 “접중중단은 바람직하지 않은 결정”이라며 “백신에 대한 신뢰를 훼손하고 장기적으로 많은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EMA도 “매년 수천명이 다른 이유로 혈전 현상을 보이고, 백신 접종 후 보고된 혈전반응은 일반적인 사례보다도 많지 않다”며 “백신접종의 부작용보다 이점이 훨씬 더 많다”고 말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유럽과 영국에서 백신을 접종한 1700만명의 사례를 분석해 발표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1700만명 중 15건의 심부정맥혈전과 22건의 폐색전증이 보고됐다”며 “일반적인 수준에서 나올 수 있는 반응보다도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국제혈전학회도 12일 “혈전과 백신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어 보인다”고 밝혔다.
유럽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이미 아스트라제네카사와 신뢰관계가 훼손됐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CNN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도입 초기부터 물량부족 문제로 EU와 갈등을 빚었고,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효과를 두고도 다시 마찰을 빚었으며 세번째로 접종중단 사태까지 왔다”고 전했다. 전염병 전문가인 카를 라우터바흐 독일 사민당의원은 가디언에 “접중중단은 실수”라며 정부의 결정을 비판했다. 그는 “접종을 중단하지 않고 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나았다”며 “코로나19 세번째 파동이 시작된 상황에서 백신 접종을 진행하는 것이 생명을 구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1100만회분 이상 접종한 영국은 백신접종을 지속하면서 자체 조사도 진행하고 있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103160833001&code=970205#csidxc56018f60defae8acc7ea9f9ad78ae4
- 이전글1896-올림픽이 재 탄생하다 21.04.06
- 다음글세계에서 가장 이상한 강 중 하나 21.03.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