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초만에 '급속충전'…국내 연구진, 하이브리드 리튬이온전지 개발
페이지 정보

본문
국내 연구진이 수초에서 수분 사이 급속 충전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하이브리드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했다.
3일 카이스트(KAIST) 신소재공학과 강정구 교수팀은 높은 출력 밀도를 보이는 축전지의 장점을 공유해 고에너지·고출력을 실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리튬이온 전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 최신호의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연구팀이 내놓은 기술의 핵심은 전지의 음극재와 양극재에 탄소 기반의 신물질인 그래핀을 결합하는 방법으로 나노미터(㎚) 단위의 미세한 구멍을 뚫은 것이다. 이렇게 뚫린 구멍은 전해질 속에서 리튬이온의 침투를 쉽게 해 높은 용량과 고효율의 방전 성능을 보일 수 있게 했다.
연구진은 이번 기술을 통해 향후 수초에서 수분 사이에 완충이 되는 새로운 리튬이온전지를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전기차는 짧아도 수십분, 길게는 수시간이 걸려야 완충이 가능하다. 휴대전화와 같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할 때에도 충전 시간 문제는 사용에 불편을 준다. 강정구 교수는 “전기차를 포함해 모든 전자기기까지 활용 범위를 확대한다면 인류 삶의 질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3일 카이스트(KAIST) 신소재공학과 강정구 교수팀은 높은 출력 밀도를 보이는 축전지의 장점을 공유해 고에너지·고출력을 실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리튬이온 전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 최신호의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연구팀이 내놓은 기술의 핵심은 전지의 음극재와 양극재에 탄소 기반의 신물질인 그래핀을 결합하는 방법으로 나노미터(㎚) 단위의 미세한 구멍을 뚫은 것이다. 이렇게 뚫린 구멍은 전해질 속에서 리튬이온의 침투를 쉽게 해 높은 용량과 고효율의 방전 성능을 보일 수 있게 했다.
연구진은 이번 기술을 통해 향후 수초에서 수분 사이에 완충이 되는 새로운 리튬이온전지를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전기차는 짧아도 수십분, 길게는 수시간이 걸려야 완충이 가능하다. 휴대전화와 같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할 때에도 충전 시간 문제는 사용에 불편을 준다. 강정구 교수는 “전기차를 포함해 모든 전자기기까지 활용 범위를 확대한다면 인류 삶의 질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이전글“임금체불에 초과근무 강요”…공장 부순 인도 아이폰 공장 노동자들 20.12.14
- 다음글무료영화 앱 깔았더니…150만건 개인정보 샜다 20.11.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