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
아폴로 11호의 발사
1969년 7월 16일 새턴 5호가 플로리다의 케네디 우주 센터의 발사대에서 발사되었다.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804 /
작성일 07-17
|
16 |
목적지
착륙 지점. (Photo: Wikimedia/CC BY-SA 3.0)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425 /
작성일 07-17
|
15 |
끈끈한 동료애
아폴로 11호의 우주 비행사들. 닐 암스트롱 (왼쪽), 마이클 콜린스 (가운데), 에드윈 "버즈" 올드린.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467 /
작성일 07-17
|
14 |
달을 탐한 인류: 아폴로 11호의 51주년 기념
1969년 7월 20일, 인간이 처음으로 달에 착륙하는 역사적인 일이 발생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어느덧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 성공 51주년이 되었다.
인류를 처음으로 달에 착륙하도록 만들어준 특별한 우주 작전의 모든 것이 궁금하다면 다음 사진을 클릭해 확인해보자!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861 /
작성일 07-17
|
13 |
수은 역행
오늘 우리는 머큐리의 Caloris 분지를 살펴보기 위해 우주로 여행을 떠납니다. 지구의 달 크기와 같은 작은 행성에는 분화구가 흩어져 있지만 그중에서 가장 화려한 것은 Caloris Basin입니다. 이 거대한 분화구의 지름은 약 1,550 킬로미터이며 산맥 (Caloris Monte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522 /
작성일 07-07
|
12 |
태양계
태양계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946 /
작성일 06-07
|
11 |
명왕성
명왕성(영어: Pluto, 중국어: 冥王星) 또는 왜소행성 134340 명왕성(소행성명 134340 Pluto)은 카이퍼 대에 있는 왜행성이다. 암석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4] 지구의 위성인 달에 비교하면 질량은 6분의 1, 부피는 3분의 1 정도이다. 태양으로부터 29~49 AU . . .
작성자 최우량 /
조회 971 /
작성일 05-03
|
10 |
해왕성
해왕성(海王星, 라틴어: Neptunus)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8번째 행성이다. 해왕(海王)은 ‘바다의 왕’이라는 한자어로, 포세이돈(그리스 신화명) 또는 넵투누스(로마 신화명)를 번역한 것이다. 해왕성은 8개 행성 중에서 직경으로는 4번째로 크고, 질량으로는 3번째로 크다. 해왕 . . .
작성자 최우량 /
조회 1032 /
작성일 05-03
|
9 |
천왕성
천왕성(天王星, Uranus)은 태양에서부터 일곱번째로 떨어져 있으며 세 번째로 반지름이 크고 네 번째로 질량이 큰 태양계의 행성이다. 영어 이름 '우라노스(Uranus)'는 크로노스의 아버지이자 제우스의 할아버지인 그리스의 신 우라노스에서 따온 것이다.(Οὐρανός) 이 행성은 기존 . . .
작성자 최우량 /
조회 1313 /
작성일 05-03
|
8 |
토성
토성(土星,라틴어: Saturnus)은 태양으로부터 여섯 번째에 있는 태양계의 행성이다. 고중세 동양에서는 진성(鎭星)이라고도 불렀다. 토성은 태양계 내의 행성 중 목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크며, 지름은 약 12만 킬로미터로, 지구의 9.1배이며 부피는 760배에 달한다. 이에 비해 질량 . . .
작성자 최우량 /
조회 1106 /
작성일 05-03
|
7 |
목성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다. 태양의 질량의 천분의 일배에 달하는 거대행성으로, 태양계에 있는 다른 모든 행성들을 합한 질량의 약 2.5배에 이른다. 목성은 토성과 마찬가지로 거대 기체 행성이다.(천왕성과 해왕성은 거대얼음행성). . . .
작성자 최우량 /
조회 980 /
작성일 05-03
|
6 |
화성
화성(火星, 영어: Mars)은 태양계의 네 번째 행성이며, 4개의 지구형 행성 중 하나다. 붉은색을 띠기 때문에 동양권에서는 불을 뜻하는 화(火)를 써서 화성 또는 형혹성(熒惑星)이라 부르고, 서양권에서는 로마 신화의 전쟁의 신 마르스의 이름을 따 Mars라 부른다. 오늘날 영어에서 . . .
작성자 최우량 /
조회 895 /
작성일 05-03
|
5 |
지구
지구(地球, Earth)는 태양으로부터 세 번째 행성이며, 엷은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지금까지 발견된 지구형 행성 가운데 가장 크다. 지구는 45억 6700만 년 전 형성되었으며, 지구와 행성 테이아의 격렬한 충돌로 생성되었을 달을 위성으로 둔다. 지구의 중력은 우주의 다른 물체, . . .
작성자 최우량 /
조회 936 /
작성일 05-03
|
4 |
금성
금성(金星, 라틴어: Venus)은 태양계의 두 번째 행성이다. 샛별, 새별로 불리기도 했다. 태양 주위를 224일 주기로 돌고 있으며 달에 이어서 밤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천체이다. 가장 밝을 때의 밝기는 -4.5등급이다. 금성의 명칭은 오행 중 하나인 '금(金)'에서 유래하였으며,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954 /
작성일 05-03
|
3 |
수성의 기원
태양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행성인 수성은 언제나 태양 옆에 붙어 다니기 때문에 관측하기가 쉽지 않다. 수성을 볼 수 있는 때는 해가 진 직후 서쪽하늘과, 해가 뜨기 직전 동쪽 하늘에서만 볼 수가 있다. 그리고 망원경으로 수성을 보면 달과 같이 그 위상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913 /
작성일 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