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
이 세상 밖에서
뜨는 지구. 1969년 아폴로 11호에서 바라본 유명한 이미지. 달의 수평선 너머로 나타나는 지구의 모습.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1-09-03 18:09:24 태양계에서 복사 됨]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1263 /
작성일 09-16
|
46 |
여기 하늘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까?
하늘이 맑고 달이 수평선 바로 위에있을 때, 오늘날의 홈페이지 사진에서 볼 수있는 것과 유사한 후광 효과가 때때로 관찰 될 수 있습니다. 이 사진은 미국 오레곤 주 해안의 Hug Point Falls에서 찍은 것입니다. 어떤 경우에는 두 번째 달처럼 보이는 후광 내부에 밝은 점이 나타납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661 /
작성일 02-09
|
45 |
적외선 목성, 이오 분출
우주 주간을 축하하기 위해 우리는 2007 년에 행성을 날아 다니는 뉴 호라이즌 우주선이 포착 한 목성의 이미지를 몽타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목성이 예전과는 조금 다르게 보인다면 그 이유는 우주 탐사선의 근적외선 분광기로 기록되었습니다. 이 거짓 색상 사진에서 목성의 높은 고도의 구름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973 /
작성일 10-04
|
44 |
이 세상 밖에서
뜨는 지구. 1969년 아폴로 11호에서 바라본 유명한 이미지. 달의 수평선 너머로 나타나는 지구의 모습.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896 /
작성일 09-16
|
43 |
영화 '퍼스트 맨'
라이언 고슬링은 닐 암스트롱의 공식 전기를 바탕으로 한 전기영화 '퍼스트 맨'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1158 /
작성일 07-17
|
42 |
우주의 창문
워싱턴 국립 대성당의 스테인드 글라스에 장식된 달에서 온 작은 암석. (Photo: Flickr/CC BY-NC 2.0)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1259 /
작성일 07-17
|
41 |
역사적인 전시
워싱턴 D.C.의 스미스 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에 전시된 아폴로 11호의 지휘선 콜럼비아.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941 /
작성일 07-17
|
40 |
닐 암스트롱의 사망
2012년 8월 25일 닐 암스트롱이 심장 수술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화장되어 대서양 바다에 뿌려졌다.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807 /
작성일 07-17
|
39 |
그들은 정말 달에 갔었다!
2012년 달 정찰 인공위성이 69년 당시 아폴로 11호가 착륙했던 지점을 사진으로 포착했다. 이로써 아폴로 11호가 달에 간 적이 없다는 온갖 루머는 더이상 설 곳을 잃었다.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877 /
작성일 07-17
|
38 |
미 의회 골드메달
아폴로 11호의 세 우주비행사와 미국인 최초로 지구의 궤도에 오른 존 글린은 2011년 골드메달을 수여받았다.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718 /
작성일 07-17
|
37 |
미 의회 골드메달
워싱턴 D.C.에서 열린 행사에서 아폴로 11호의 동료들과 함께 미 의회 골드메달을 받기 전 깊은 생각에 잠긴 마이클 콜린스.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628 /
작성일 07-17
|
36 |
화제의 경매
Smithsonian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17년 닐 암스트롱이 사용했던 달의 먼지가 묻은 달 암석 가방이 경매를 통해 백만 달러에 판매되었다.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662 /
작성일 07-17
|
35 |
유서 깊은 기념품
달의 궤도를 달렸던 아폴로 11호의 앰블럼에 3명의 우주비행사가 사인을 한 이 기념품은 2014년 뉴욕 본햄의 경매장에서 62,500 달러에 판매되었다.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765 /
작성일 07-17
|
34 |
40주년 기념식
2009년 7월 20일 당시 대통령 버락 오바마가 버즈 올드린, 마이클 콜린스, 닐 암스트롱을 초청하여 40주년 기념행사를 거행했다.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626 /
작성일 07-17
|
33 |
우주명예훈장
1978년 닐 암스트롱은 당시 대통령이었던 지미 카터 대통령으로 부터 최초로 우주명예훈장을 수여 받았다. 후속 아폴로 임무에 투입된 우주 비행사 피터 콘래드(왼쪽)와 프랭크 보먼(왼쪽에서 두번째)도 보인다.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682 /
작성일 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