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의 경고 : 코로나19는 사라지지 않을 수도 있다. 백신이 개발되더라도. 코로나19가 풍토성 바이러스가 될 수도 있다는 …
페이지 정보

본문
전 세계에서 지금까지 30만명에 육박하는 사망자를 낸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종식’은 없을지도 모른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밝혔다. 백신이 개발되더라도 바이러스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풍토병으로 남을 수 있다는 얘기다.
13일(현지시각) 온라인으로 진행된 브리핑에서 WHO의 긴급준비대응 사무차장인 마이클 라이언 박사는 코로나19가 언제쯤 사라질 것인지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것을 있는 그대로 분명히 밝히는 게 중요하다. 이 바이러스는 지역사회에 남아 또 하나의 풍토성 바이러스가 될지도 모르고, 이 바이러스가 사라지지 않을지도 모른다.” 라이언 박사가 말했다.
그는 ”현실을 직시하는 게 중요하다”며 ”이 질병이 언제 사라질 것인지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다. ”(종식 가능성에 대한) 어떠한 보장도 없고 시점이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다. 이 질병은 지속되는 문제로 자리잡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라이언 박사는 HIV나 홍역처럼 이미 백신이 개발됐음에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바이러스들을 언급하며 코로나19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HIV는 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는 이 바이러스를 받아들이는 법을 배웠다. 치료법과 예방법을 찾아냈고, 사람들은 예전처럼 (HIV를) 두려워하지 않게 됐다. HIV에 걸린 사람들도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게 됐다.”
세계 각국은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단행했던 각종 봉쇄 조치를 서서히 완화하고 있다. 경제 활동 중단의 충격이 실업률 폭증, 매출 급감 등으로 나타나면서 경제 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성급한 봉쇄 조치 완화가 감염 확산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해왔다. 각국 정부로서는 각자의 상황에 맞춰 방역과 경제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나가야 하는 상황이다.
라이언 박사는 코로나19의 위험 수준이 ”국가적, 지역적, 글로벌 차원에서” 여전히 높다며 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코로나19에 대한 ”매우 현저한 수준의 통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WHO의 마리아 판케르크호버 신종질병팀장은 ”우리는 이 팬데믹에서 빠져나오기까지 시간이 꽤 걸릴 것이라는 마음가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13일(현지시각) 온라인으로 진행된 브리핑에서 WHO의 긴급준비대응 사무차장인 마이클 라이언 박사는 코로나19가 언제쯤 사라질 것인지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것을 있는 그대로 분명히 밝히는 게 중요하다. 이 바이러스는 지역사회에 남아 또 하나의 풍토성 바이러스가 될지도 모르고, 이 바이러스가 사라지지 않을지도 모른다.” 라이언 박사가 말했다.
그는 ”현실을 직시하는 게 중요하다”며 ”이 질병이 언제 사라질 것인지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다. ”(종식 가능성에 대한) 어떠한 보장도 없고 시점이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다. 이 질병은 지속되는 문제로 자리잡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라이언 박사는 HIV나 홍역처럼 이미 백신이 개발됐음에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바이러스들을 언급하며 코로나19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HIV는 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는 이 바이러스를 받아들이는 법을 배웠다. 치료법과 예방법을 찾아냈고, 사람들은 예전처럼 (HIV를) 두려워하지 않게 됐다. HIV에 걸린 사람들도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게 됐다.”
세계 각국은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단행했던 각종 봉쇄 조치를 서서히 완화하고 있다. 경제 활동 중단의 충격이 실업률 폭증, 매출 급감 등으로 나타나면서 경제 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성급한 봉쇄 조치 완화가 감염 확산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해왔다. 각국 정부로서는 각자의 상황에 맞춰 방역과 경제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나가야 하는 상황이다.
라이언 박사는 코로나19의 위험 수준이 ”국가적, 지역적, 글로벌 차원에서” 여전히 높다며 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코로나19에 대한 ”매우 현저한 수준의 통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WHO의 마리아 판케르크호버 신종질병팀장은 ”우리는 이 팬데믹에서 빠져나오기까지 시간이 꽤 걸릴 것이라는 마음가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이전글대기질 개선의 역설…올 여름 더 뜨거워지고 폭우 쏟아진다 20.05.14
- 다음글Bill Gates 20.05.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