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경제에 대해 입 닫아야" 최문순 전 지사가 '레고랜드 사태'에 대해 김진태 현 강원도지사에게 뼈아픈…
페이지 정보

본문
"정치가 경제에 대해 입 닫아야" 최문순 전 지사가 '레고랜드 사태'에 대해 김진태 현 강원도지사에게 뼈아픈 일침을 날렸다
"정치가 경제에 대해 입 닫아야" 최문순 전 지사가 '레고랜드 사태'에 대해 김진태 현 강원도지사에게 뼈아픈 일침을 날렸다
"아, 정치가 경제를 망칠 수 있구나~"
김진태 강원도지사가 채무불이행 선언으로 불러일으킨 '레고랜드 사태'에 최문순 전 강원도지사가 결국 불려 나왔다. 최 전 지사는 "집에서 편히 쉬고 있는데 자꾸 불러낸다"며 "제가 이 자리에 나오면 안 되는데.."라고 말했다.
최문순 전 강원도지사는 25일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와의 인터뷰에서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레고랜드 채무불이행 선언에 대해 "작게 막을 일을 무려 50조를 투자하는 단계까지 오게 된 것"이라고 작심 비판했다.
최 전 지사는 김 지사의 채무불이행 선언에 대해 "그냥 가만히 뒀으면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중도개발공사의 재무제표를 제시하며 "흑자 기업"이라고 주장했다.
최 전 지사는 "(김진태 지사가) 회생절차를 발표하기 전날, 증권회사하고 빚을 갚는 걸 연장하기로 합의가 된 상태였다"며, "그 회사 사장과 임직원들하고 얘기하지 않고 소통하지 않고 그냥 발표를 해버렸던 것"이라고 김 지사의 성급한 결정을 질책했다. 최 전 지사는 김 지사의 채무불이행 선택이 "정확한 실체적 진실을 파악하지 않고 그냥 정치목적으로 발표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도의회 동의 없이 빚보증을 섰다는 의혹에 대해 최 전 지사는 "도의회 승인 없이 제가 2050억을 지급보증으로 할 수가 없다"며 "회의록도 남아 있고 공개적으로 진행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도의회 승인뿐만 아니라 행정안전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라고 있는데 행정안전부의 승인도 받고 촘촘히 거미줄처럼 승인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최 전 지사는 레고랜드에 대해 "흑자 사업이고 또 레고랜드도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이렇게 될 사안이 전혀 아닌 것"이라면서, "아, 정치가 경제를 아무 이유 없이 망칠 수 있구나 이렇게 인식이 됐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 들어가도 될 돈이 들어간 것"
최 전 지사는 정부가 "채권시장이나 신용시장에서 최후의 보루"라며 "최후의 보루가 스스로 넘어져 버리니까 그 전 단계에서 다 신용이 붕괴돼 버린 것"이라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뒤늦게나마 예산을 투입한 거로 방어를 하는 것은 잘했다고 보는데, 그 돈은 안 들어가도 될 돈이 들어간 것"이라며 "2,050억은 저 회사를 그냥 뒀으면 연장해가면서 빚을 갚아가는 거 아니겠느냐"고 지적했다.
최 전 지사는 정부의 50조 플러스 알파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에 대해 "시장에서 50조가 사라져버린 거다. 그거를 국민들의 세금으로 메우게 되는 것"이라며 "전반적으로 신뢰가 무너지는 데 대한 비용을 우리 사회가 감당하게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 사건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며 "정치가 경제에 대해서 면밀하게 접근하고 가능하면 입을 닫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 정치는 상대방에게 주먹 휘두르는 것이 근본으로 돼 있어서 이번에 주먹 휘두르고 발길질하다가 헛발질하고 넘어진 것"이라며 "다시는 그런 일이 없어야 된다"고 말했다.
최 전 지사는 자신을 향한 국민의힘의 비판에 대해 "그것이 돈을 안 갚을 이유가 되는 것은 아니"라며 "그것이 사실도 아니지만 자꾸 그렇게 함으로써 신뢰를 점점 깼다는 것을 본인들이 모르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어 말했다.
앞서 김진태 강원도 지사는 지난달 28일 춘천시 레고랜드 조성을 위해 발행한 2,050억 원 규모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에 대한 지급보증 철회 의사를 밝히면서 논란이 빚어졌다. 빚보증을 선 강원도가 빚을 갚지 않겠다고 사실상 선언한 셈이다.
그 결과, 채권시장이 빠르게 경색되며 금융시장 불안이 퍼지자, 김 지사는 지난 21일 다시 채무를 상환하겠다며 입장을 번복했다.
"정치가 경제에 대해 입 닫아야" 최문순 전 지사가 '레고랜드 사태'에 대해 김진태 현 강원도지사에게 뼈아픈 일침을 날렸다
"아, 정치가 경제를 망칠 수 있구나~"
김진태 강원도지사가 채무불이행 선언으로 불러일으킨 '레고랜드 사태'에 최문순 전 강원도지사가 결국 불려 나왔다. 최 전 지사는 "집에서 편히 쉬고 있는데 자꾸 불러낸다"며 "제가 이 자리에 나오면 안 되는데.."라고 말했다.
최문순 전 강원도지사는 25일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와의 인터뷰에서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레고랜드 채무불이행 선언에 대해 "작게 막을 일을 무려 50조를 투자하는 단계까지 오게 된 것"이라고 작심 비판했다.
최 전 지사는 김 지사의 채무불이행 선언에 대해 "그냥 가만히 뒀으면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중도개발공사의 재무제표를 제시하며 "흑자 기업"이라고 주장했다.
최 전 지사는 "(김진태 지사가) 회생절차를 발표하기 전날, 증권회사하고 빚을 갚는 걸 연장하기로 합의가 된 상태였다"며, "그 회사 사장과 임직원들하고 얘기하지 않고 소통하지 않고 그냥 발표를 해버렸던 것"이라고 김 지사의 성급한 결정을 질책했다. 최 전 지사는 김 지사의 채무불이행 선택이 "정확한 실체적 진실을 파악하지 않고 그냥 정치목적으로 발표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도의회 동의 없이 빚보증을 섰다는 의혹에 대해 최 전 지사는 "도의회 승인 없이 제가 2050억을 지급보증으로 할 수가 없다"며 "회의록도 남아 있고 공개적으로 진행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도의회 승인뿐만 아니라 행정안전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라고 있는데 행정안전부의 승인도 받고 촘촘히 거미줄처럼 승인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최 전 지사는 레고랜드에 대해 "흑자 사업이고 또 레고랜드도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이렇게 될 사안이 전혀 아닌 것"이라면서, "아, 정치가 경제를 아무 이유 없이 망칠 수 있구나 이렇게 인식이 됐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 들어가도 될 돈이 들어간 것"
최 전 지사는 정부가 "채권시장이나 신용시장에서 최후의 보루"라며 "최후의 보루가 스스로 넘어져 버리니까 그 전 단계에서 다 신용이 붕괴돼 버린 것"이라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뒤늦게나마 예산을 투입한 거로 방어를 하는 것은 잘했다고 보는데, 그 돈은 안 들어가도 될 돈이 들어간 것"이라며 "2,050억은 저 회사를 그냥 뒀으면 연장해가면서 빚을 갚아가는 거 아니겠느냐"고 지적했다.
최 전 지사는 정부의 50조 플러스 알파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에 대해 "시장에서 50조가 사라져버린 거다. 그거를 국민들의 세금으로 메우게 되는 것"이라며 "전반적으로 신뢰가 무너지는 데 대한 비용을 우리 사회가 감당하게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 사건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며 "정치가 경제에 대해서 면밀하게 접근하고 가능하면 입을 닫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 정치는 상대방에게 주먹 휘두르는 것이 근본으로 돼 있어서 이번에 주먹 휘두르고 발길질하다가 헛발질하고 넘어진 것"이라며 "다시는 그런 일이 없어야 된다"고 말했다.
최 전 지사는 자신을 향한 국민의힘의 비판에 대해 "그것이 돈을 안 갚을 이유가 되는 것은 아니"라며 "그것이 사실도 아니지만 자꾸 그렇게 함으로써 신뢰를 점점 깼다는 것을 본인들이 모르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어 말했다.
앞서 김진태 강원도 지사는 지난달 28일 춘천시 레고랜드 조성을 위해 발행한 2,050억 원 규모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에 대한 지급보증 철회 의사를 밝히면서 논란이 빚어졌다. 빚보증을 선 강원도가 빚을 갚지 않겠다고 사실상 선언한 셈이다.
그 결과, 채권시장이 빠르게 경색되며 금융시장 불안이 퍼지자, 김 지사는 지난 21일 다시 채무를 상환하겠다며 입장을 번복했다.
- 이전글기준금리 인상 너무 가파른가…미 연준 vs 경제학자들 격론 22.12.14
- 다음글고객의 경우 슈퍼마켓과 베이커리의 조합은 추가 이동 거리를 피하기 때문에 매우 실용적입니다. 그러나 광고 심리학자가 밝힌 것처럼이 조합 뒤에는 전략이 있습니다. 22.11.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