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
독일교육제도의 한가지 고민
독일 대학교육제도는 EU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화된 제도가 도이된 후로 대부분 평준화, 균일화가 이루어진 셈이다. 그런데도 아직 미국식 혹은 한국대학과 제도상에서 일정한 차이점이 존재하고 있다.
독일 모든 대학에서 균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 있다. 신입생을 기준으로 대략 3분의 1이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692 /
작성일 09-27
|
10 |
독일대학에도 영어강의 도입이 가능할까?
2차 대전 직후부터 영국을 제외한 유럽의 일부 국가대학은 외국유학생을 위해 영어 강의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스웨덴, 네덜란드, 핀란드 등 소규모 국가가 여기에 속했다.
전쟁 직후부터 이런 아이디어를 냈다는 것은 장래적인 안목에서 글로벌 경쟁에 대비한 높이 평가할만한 정책이라 할 수 있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663 /
작성일 09-29
|
9 |
독일 대학 소개
1.. 대학은 몇 개?
독일에 있는 대학의 수는 2018년/2019년도에 426 개로 집계되어 있다. 일반 종합대학 (Universitaet로 칭하는), 공과대학 (Technische Universitaet), 그 외에 전문대학(Fachhochschule 혹은 University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829 /
작성일 06-20
|
8 |
„코로나“ 세대 고졸 생의 고충
독일고등학교에서 고졸(Abi)시험을 치루고 대학진학, 사회진출의 첫 발을 시작하기 전 대기하는 3-4 개월은 생애의 가장 좋은 시기라고 한다. 여행을 떠나거나 여행준비를 위해 아르바이트를 구 하는 즐거움이다. 그러나 지금처럼 이 모든 꿈이 깨지는 불행이 닥친 해는 없었다. 몇몇 학생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830 /
작성일 06-20
|
7 |
|
6 |
출생아 수 42개월 연속 '최저'…3분기 출산율 0.88명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214&aid=0000996654 지난 9월 출생아 수가 42개월 연속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출생아에서 사망자를 뺀 자연증가 인구도 560 . . .
작성자 fDDYq528 /
조회 1469 /
작성일 11-28
|
5 |
영국형 국제학교
영국형 국제학교
프랑크푸르트 북쪽 20 km 떨어진 Friedrichsdorf 에 영국 King’s College 교육그룹에 속하는 국제학교가 설립되었다. King’s College 란 교육프로그람을 의미하며 현재 유럽에 10개 학교를 운영중이다. 프랑크푸르트 지역에서 첫 영국형 교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1948 /
작성일 06-03
|
4 |
대학생은 과잉생산되고 있다
대학생은 과잉생산되고 있다
Akademisierungswahn 이란 복합단어가생겨났다. 대학진학률이 높아지는 현상을 비꼬는 단어다. 한때 OECD는 독일의 대학진학률이 너무 낮다는 평을 가했었다. 그 후 차츰 역현상이 가시화되면서 지금의역효과는 더욱 심각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2106 /
작성일 06-03
|
3 |
독일 직업교육-2
독일 직업교육-2
Industriekeramiker Anlagentechnik/ Industriekeramikerin Anlagentechnik
Industriekeramiker Dekorationstechnik/ Industriekeramikerin Dekorationste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1858 /
작성일 06-03
|
2 |
독일공인 직업교육가능 업종
독일공인 직업교육가능 업종
1 . 1 A lp h a b e t i s c h e L i s t e d e r a n e r k a n n t e n o d e r a ls a n e r k an n t g e l t e n d e n A u s b i l d u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1880 /
작성일 06-03
|
1 |
독일 학제개혁의 결과는?
독일 학제개혁의 결과는?
유럽에서 전후 있었던 개혁가운데 가장 중대한 개혁으로는 15년 전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대학교육개혁이 꼽힌다. 유럽 모든 국가가 동시에 대학교육제도를 뱃첼러제도로 전환한 것이었다. 이는 유럽에 균일화된 제도의 도입이라는 점에서 가장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1598 /
작성일 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