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대멸종
페이지 정보

본문
2. 데본기 후기 대멸종
두 번째 대멸종은 현재로부터 약 3억 6500년 전 데본기 후기에 일어났다. 데본기에 육지생물의 진화가 시작됐지만 아직 대부분 생물은 바다에서 살고 있었다.
식물이 번성하면서 영양이 풍부한 토양이 전 세계 바다로 흘러들어 갔고, 조류가 발생해 바다의 영양과 산소를 차단해 해양생물이 대멸종에 이르렀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그러나 최근 일부 지질학자들은 화산폭발이 바닷속 산소를 줄여 멸종사태가 일어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출처 : 뉴스펭귄(https://www.newspenguin.com)
두 번째 대멸종은 현재로부터 약 3억 6500년 전 데본기 후기에 일어났다. 데본기에 육지생물의 진화가 시작됐지만 아직 대부분 생물은 바다에서 살고 있었다.
식물이 번성하면서 영양이 풍부한 토양이 전 세계 바다로 흘러들어 갔고, 조류가 발생해 바다의 영양과 산소를 차단해 해양생물이 대멸종에 이르렀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그러나 최근 일부 지질학자들은 화산폭발이 바닷속 산소를 줄여 멸종사태가 일어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출처 : 뉴스펭귄(https://www.newspenguin.com)
- 이전글3. 3차 대멸종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 22.07.23
- 다음글1차 지구 대멸종 22.07.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