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본 지구의 모습
근일점에 도달했습니다! 동지 2주 후, 지구의 궤도는 지구의 타원형 궤도의 결과로 일년 중 어느 때보다 태양에 더 가깝습니다. "우리가 태양에 너무 가깝다면 왜 열을 느끼지 못합니까?"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글쎄요, 그것은 우리가 평소보다 약 7% 더 많은 태양 에너지를 얻기 때문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207 /
작성일 01-04
|
43 |
|
42 |
동지
이제부터 날이 다시 길어지고 있습니다! 북반구에서는 겨울이 오늘 시작되지만 동지는 일년 중 가장 짧은 날이기도합니다. 이곳의 태양을 둘러싸고 있는 무지개인 후광은 이탈리아 북부 돌로미티의 안테르모이아 호수 위에 있습니다.
헤일로 현상은 상층 대기의 얼음 결정에 햇빛이나 달빛이 반사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87 /
작성일 12-21
|
41 |
5. 백악기-고생대 대멸종
네 번째 멸종 사태로 이후 파충류, 공룡, 익룡이 지구를 지배했다. 다섯 번째 대멸종 때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공룡이 사라졌으며, 모든 생물종 중 75%가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섯 번째 대멸종 원인은 소행성 충돌설이 꼽힌다. 이 가설에 따르면 폭 13km에 달하는 소행성이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269 /
작성일 07-23
|
40 |
4. 트라이아스기-중생대 쥐라기 대멸종
2억100만 년 전 일어난 네 번째 대멸종 전 지구의 육지에서는 공룡이 진화하기 시작하고 있었다. 당시 모든 대륙은 하나로 합쳐져 있었지만 서서히 분열되는 시기였다. 분열이 진행하면서 대륙 중앙부에 마그마가 대규모로 분포하는 영역이 만들어졌고, 화산폭발이 일어나기 시작하면서 지구온난화가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136 /
작성일 07-23
|
39 |
3. 3차 대멸종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
세 번째 대멸종은 2억5300만 년 전 일어났다. 알려진 멸종사태 중 가장 큰 규모이며 해양생물 96%, 육지생물 70%가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당시 지구에는 초대륙 판게아가 형성되는 대규모 지질변화가 있던 시기였다. 지금의 시베리아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화산 폭발로 인해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138 /
작성일 07-23
|
38 |
2차 대멸종
2. 데본기 후기 대멸종
두 번째 대멸종은 현재로부터 약 3억 6500년 전 데본기 후기에 일어났다. 데본기에 육지생물의 진화가 시작됐지만 아직 대부분 생물은 바다에서 살고 있었다.
식물이 번성하면서 영양이 풍부한 토양이 전 세계 바다로 흘러들어 갔고, 조류가 발생해 바다의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135 /
작성일 07-23
|
37 |
1차 지구 대멸종
1.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멸종
첫 번째 대멸종은 대략 4억4천만 년 전 생물종 중 85% 정도가 사라진 사건이다. 당시 바다는 지금보다 훨씬 얕았고, 산호나 껍질을 가진 완족류가 종 대부분을 차지했다.
현재 가장 유력한 첫 번째 대멸종 원인으로는 오르도비스기가 끝날 무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107 /
작성일 07-23
|
36 |
북극광
오로라를 보기 위해 알래스카까지 갈 필요가 없습니다(하와이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인상적인 사진 때문에 어쨌든 여러분께 추천합니다. 북쪽으로 멀수록 좋습니다. 북극에 가까울수록 오로라가 더 자주 발생하고 강렬합니다.
이 강렬한 극광은 알래스카의 북쪽 경사를 형성하는 산맥 . .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402 /
작성일 12-19
|
35 |
굿 나이트!
2017년 나사에 의해 발표된 모든 서반구의 밤을 보여주는 합성 이미지.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1-10-14 15:32:19 지구에서 복사 됨]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570 /
작성일 02-15
|
34 |
이 세상 밖에서
뜨는 지구. 1969년 아폴로 11호에서 바라본 유명한 이미지. 달의 수평선 너머로 나타나는 지구의 모습.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1-10-14 15:32:19 지구에서 복사 됨]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541 /
작성일 02-15
|
33 |
무중력
2005년 우주 비행사 스티븐 로빈슨 (Stephen K. Robinson)이 국제 우주 정거장의 캐나다암2에 있는 발 억제 장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1-10-14 15:32:19 지구에서 복사 됨]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560 /
작성일 02-15
|
32 |
흑점
국제 우주 정거장은 초당 약 5마일의 속도로 태양을 통과하고 있다. 이 모습은 실루엣으로 보인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1-10-14 15:32:19 지구에서 복사 됨]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534 /
작성일 02-15
|
31 |
왕복 운행
2011년 우주 왕복선 아틀란티스가 국제 우주 정거장과 도킹하기 전 바하마 위를 지나고 있다. 또 하나의 우주선은 정박된 러시아 프로그레스 우주선의 일부이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1-10-14 15:32:19 지구에서 복사 됨]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576 /
작성일 02-15
|
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