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비통 단연 1위…세계 명품 TOP100 오른 한국 기업은
페이지 정보

본문
세계 명품시장 코로나 이전 회복…2021년 기준 387조
한국 아모레퍼시픽 ‘19위’ 100대 기업에 처음 이름 올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명품시장은 얼마나 커졌을까? 2021년 전 세계 명품시장 규모는 3050억달러(한화 약 387조원)로 전년에 견줘 20% 이상 증가하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했다. 시장 1위 기업은 프랑스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NH)로 전체 시장 매출의 32%를 차지했다. 한국 기업으로는 아모레퍼시픽이 전 세계 100대 명품기업에 처음으로 이름을 올렸다.
전 세계 명품시장의 동향을 알 수 있는 보고서가 나왔다. 한국딜로이트그룹은 6일 ‘글로벌 명품 산업 2022: 열정의 새 물결’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를 보면, 2021년 말 기준으로 글로벌 100대 명품기업의 연간 매출액은 3050억달러에 달해 전년 대비 21.5%나 성장했다. 이는 펜데믹 이전인 2019년 2820억달러보다도 증가한 수치다.
100대 명품기업 중 1위에 이름을 올린 루이비통모에헤네시는 매출액이 549억달러로, 전년에 견줘 56%나 늘었다. 이 기업은 루이비통과 크리스챤 디올, 티파니 등의 명품을 거느리고 있다. 10위권 기업을 살펴보면, 까르띠에, 반클리프 아펠 등 보석 브랜드를 가진 스위스 리치몬드그룹이 6위로 전년(4위)보다 2단계 하락했다. 샤넬(4위)과 에르메스(7위), 롤렉스(9위)는 두 단계씩 순위가 올랐다. 100대 명품기업 중 톱10 기업이 전체 매출액의 43.8%를 차지했다. 순이익률이 가장 높은 곳은 에르메스(27.3%)였고, 샤넬(25.7%), 루이비통모에헤네시(19.8%), 케어링(19.8%)이 뒤를 이었다.
100대 명품기업 중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인 기업은 영국의 플랫폼 파페치였다. 파페치의 명품 매출액은 11억 달러로 전년에 견줘 31%가 성장했으며, 2018~2021년까지 4년 동안 연평균 105%씩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한국의 아모레퍼시픽이 처음으로 100대 명품 그룹에 이름을 올렸다. 아모레퍼시픽의 2021년 명품 매출액은 37억달러로 전년 대비 11.6% 늘었다. 딜로이트그룹 측은 “19위로 신규 진입한 아모레퍼시픽은 한국을 대표하는 케이뷰티 기업으로, 대부분의 브랜드가 럭셔리 및 프리미엄 뷰티 부문에 속한다”며 “한국은 스킨케어 부문에서 프랑스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화장품 수출국”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보고서는 세계 명품시장의 트렌드로 중고판매·리세일·대여 등을 통해 제품 사용 기간을 늘리고, 바이오 소재 등 안전하고 재생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는 등의 ‘자원순환 모델 구축’을 꼽았다. 또 메타버스·웹 3.0 등을 활용한 디지털 혁명의 가속화도 또 다른 변화의 축으로 꼽았다.
한국 아모레퍼시픽 ‘19위’ 100대 기업에 처음 이름 올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명품시장은 얼마나 커졌을까? 2021년 전 세계 명품시장 규모는 3050억달러(한화 약 387조원)로 전년에 견줘 20% 이상 증가하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했다. 시장 1위 기업은 프랑스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NH)로 전체 시장 매출의 32%를 차지했다. 한국 기업으로는 아모레퍼시픽이 전 세계 100대 명품기업에 처음으로 이름을 올렸다.
전 세계 명품시장의 동향을 알 수 있는 보고서가 나왔다. 한국딜로이트그룹은 6일 ‘글로벌 명품 산업 2022: 열정의 새 물결’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를 보면, 2021년 말 기준으로 글로벌 100대 명품기업의 연간 매출액은 3050억달러에 달해 전년 대비 21.5%나 성장했다. 이는 펜데믹 이전인 2019년 2820억달러보다도 증가한 수치다.
100대 명품기업 중 1위에 이름을 올린 루이비통모에헤네시는 매출액이 549억달러로, 전년에 견줘 56%나 늘었다. 이 기업은 루이비통과 크리스챤 디올, 티파니 등의 명품을 거느리고 있다. 10위권 기업을 살펴보면, 까르띠에, 반클리프 아펠 등 보석 브랜드를 가진 스위스 리치몬드그룹이 6위로 전년(4위)보다 2단계 하락했다. 샤넬(4위)과 에르메스(7위), 롤렉스(9위)는 두 단계씩 순위가 올랐다. 100대 명품기업 중 톱10 기업이 전체 매출액의 43.8%를 차지했다. 순이익률이 가장 높은 곳은 에르메스(27.3%)였고, 샤넬(25.7%), 루이비통모에헤네시(19.8%), 케어링(19.8%)이 뒤를 이었다.
100대 명품기업 중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인 기업은 영국의 플랫폼 파페치였다. 파페치의 명품 매출액은 11억 달러로 전년에 견줘 31%가 성장했으며, 2018~2021년까지 4년 동안 연평균 105%씩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한국의 아모레퍼시픽이 처음으로 100대 명품 그룹에 이름을 올렸다. 아모레퍼시픽의 2021년 명품 매출액은 37억달러로 전년 대비 11.6% 늘었다. 딜로이트그룹 측은 “19위로 신규 진입한 아모레퍼시픽은 한국을 대표하는 케이뷰티 기업으로, 대부분의 브랜드가 럭셔리 및 프리미엄 뷰티 부문에 속한다”며 “한국은 스킨케어 부문에서 프랑스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화장품 수출국”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보고서는 세계 명품시장의 트렌드로 중고판매·리세일·대여 등을 통해 제품 사용 기간을 늘리고, 바이오 소재 등 안전하고 재생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는 등의 ‘자원순환 모델 구축’을 꼽았다. 또 메타버스·웹 3.0 등을 활용한 디지털 혁명의 가속화도 또 다른 변화의 축으로 꼽았다.
- 이전글TBS 떠난 김어준, 유튜브 첫날 슈퍼챗 세계 1위…수익 얼마 23.01.10
- 다음글올해 마지막날 권하고픈 만화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행복해’ 22.12.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