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억클럽 의혹' 수사, 곽상도 다음은 박영수?…수사 속도낼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2-02-06 17:05 조회 296 댓글 0본문
박영수
검찰이 ‘50억 클럽’ 의혹에 연루된 곽상도 전 의원을 구속하면서 박영수 전 특별검사 등 다른 관련자 수사에도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서울중앙지법은 지난 4일 곽 전 의원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구속했다. 정영학 회계사 녹취록에 등장하는 ‘50억 클럽’ 의혹 관련 인물들 가운데 첫 구속이다.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김태훈 4차장검사)는 구속 기한인 20일 안에 곽 전 의원을 재판에 넘길 예정이다.
다음 수사 대상으로는 박 전 특검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박 전 특검은 녹취록에서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가 정 회계사와 대장동 분양수익 420억원 배분 계획을 상의할 때 ‘50억 클럽’으로 불리는 정치·법조·언론계 로비 대상 6명 중 하나에 포함됐다. 박 전 특검은 대장동 개발에 관여된 정도가 곽 전 의원보다도 밀접하다. 박 전 특검의 딸은 화천대유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지난해 6월 화천대유가 보유한 대장동 아파트 잔여분 1채를 시세의 절반 수준 가격으로 분양받았다. 그의 딸이 화천대유로부터 성과급과 퇴직금 명목으로 50억원을 받기로 약속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아들이 퇴직금 명목으로 50억원(세후 약 25억원)을 받아 뇌물 혐의로 영장이 청구된 곽 전 의원과 같은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
박 전 특검은 2015~2016년 화천대유에서 매년 2억원의 고문료를 받으며 고문 변호사로 일하는가 하면, 화천대유 측과 직접적인 자금 거래를 한 내역도 발견됐다. 2015년 4월3일 박 전 특검 계좌에서 김씨 계좌로 5억원이 이체됐고, 대장동 개발이익 배당이 이뤄진 뒤 김씨가 박 전 특검 인척이자 대장동 개발 분양대행사 대표인 이모씨에게 100억원 가량을 전달했다.
박 전 특검이 2014년 대한변호사협회장 선거에 출마했을 당시 경제지 법조 출입기자였던 김씨, 대장동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던 남욱 변호사 등이 선거를 도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이씨가 2014년 초부터 2015년 3월까지 남 변호사 측에 건넨 43억원이 선거에 쓰인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왔다. 박 전 특검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가 2011년 부산저축은행 불법 대출 사건을 수사하면서 1100억원대 대장동 대출 건을 부실 수사한 의혹에도 연루됐다. 그는 2009년 대장동 개발 시행사 대표였던 이강길씨에게 1000억원대 대출을 알선한 부산저축은행 대출 브로커 조모씨가 2011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조사를 받을 당시 변호인을 맡았다.
검찰은 지난해 11월과 올해 1월 박 전 특검을 두 차례 불러 조사했다. 하지만 박 전 특검의 여러 의혹에 대한 결정적 증거는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곽 전 의원 아들과 달리 딸의 퇴직금 정산이 이뤄지지 않아 돈이 확실히 건너간 것이 아닌 데다, 대가성을 입증할 만한 뚜렷한 증거도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검찰이 곽 전 의원을 끝으로 로비 의혹 수사를 마무리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검찰이 ‘50억 클럽’ 의혹에 연루된 곽상도 전 의원을 구속하면서 박영수 전 특별검사 등 다른 관련자 수사에도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서울중앙지법은 지난 4일 곽 전 의원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구속했다. 정영학 회계사 녹취록에 등장하는 ‘50억 클럽’ 의혹 관련 인물들 가운데 첫 구속이다.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김태훈 4차장검사)는 구속 기한인 20일 안에 곽 전 의원을 재판에 넘길 예정이다.
다음 수사 대상으로는 박 전 특검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박 전 특검은 녹취록에서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가 정 회계사와 대장동 분양수익 420억원 배분 계획을 상의할 때 ‘50억 클럽’으로 불리는 정치·법조·언론계 로비 대상 6명 중 하나에 포함됐다. 박 전 특검은 대장동 개발에 관여된 정도가 곽 전 의원보다도 밀접하다. 박 전 특검의 딸은 화천대유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지난해 6월 화천대유가 보유한 대장동 아파트 잔여분 1채를 시세의 절반 수준 가격으로 분양받았다. 그의 딸이 화천대유로부터 성과급과 퇴직금 명목으로 50억원을 받기로 약속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아들이 퇴직금 명목으로 50억원(세후 약 25억원)을 받아 뇌물 혐의로 영장이 청구된 곽 전 의원과 같은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
박 전 특검은 2015~2016년 화천대유에서 매년 2억원의 고문료를 받으며 고문 변호사로 일하는가 하면, 화천대유 측과 직접적인 자금 거래를 한 내역도 발견됐다. 2015년 4월3일 박 전 특검 계좌에서 김씨 계좌로 5억원이 이체됐고, 대장동 개발이익 배당이 이뤄진 뒤 김씨가 박 전 특검 인척이자 대장동 개발 분양대행사 대표인 이모씨에게 100억원 가량을 전달했다.
박 전 특검이 2014년 대한변호사협회장 선거에 출마했을 당시 경제지 법조 출입기자였던 김씨, 대장동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던 남욱 변호사 등이 선거를 도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이씨가 2014년 초부터 2015년 3월까지 남 변호사 측에 건넨 43억원이 선거에 쓰인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왔다. 박 전 특검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가 2011년 부산저축은행 불법 대출 사건을 수사하면서 1100억원대 대장동 대출 건을 부실 수사한 의혹에도 연루됐다. 그는 2009년 대장동 개발 시행사 대표였던 이강길씨에게 1000억원대 대출을 알선한 부산저축은행 대출 브로커 조모씨가 2011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조사를 받을 당시 변호인을 맡았다.
검찰은 지난해 11월과 올해 1월 박 전 특검을 두 차례 불러 조사했다. 하지만 박 전 특검의 여러 의혹에 대한 결정적 증거는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곽 전 의원 아들과 달리 딸의 퇴직금 정산이 이뤄지지 않아 돈이 확실히 건너간 것이 아닌 데다, 대가성을 입증할 만한 뚜렷한 증거도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검찰이 곽 전 의원을 끝으로 로비 의혹 수사를 마무리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