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 전이궤도 진입 성공…이틀 뒤 첫번째 방향 전환 시도
페이지 정보

본문
우리나라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가 5일 오전 8시8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미 우주군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돼 다섯달 동안의 ‘우주여행’에 돌입했다. 케이프커내버럴/공동취재기자단
5일 오전 8시8분48초 미국 플로리다에서 발사
항우연 지상국 교신에서 달 전이궤도 진입 확인
넉달반 뒤 달 궤도 안착하면 과학탐사 임무 시작
한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가 5일 오전 발사돼 달을 향해 가는 전이궤도에 순조롭게 진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누리가 4개월 반 동안의 ‘우주여행’을 거쳐 오는 12월말을 목표로 하는 달 궤도 진입에 성공하면 한국은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 일본, 중국, 인도에 이어 7번째 달 탐사국이 된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달 탐사선 다누리가 예정대로 오전 8시8분48초에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돼 달 전이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다누리는 발사 40분 뒤인 오전 8시48분께 고도 703㎞ 지점에서 발사체인 스페이스엑스의 팰컨9에서 분리돼 초속 10.5㎞의 속도로 우주비행에 돌입했다. 이어 발사 1시간32분 뒤인 오전 9시40분께는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에 있는 지상국과 첫 교신이 이뤄졌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수신된 위성정보를 분석한 결과 다누리의 태양전지판이 펼쳐져 전력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탑재컴퓨터 등 장치들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뤄지는 등 다누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달로 직진하지 않고 태양쪽으로 갔다가 달쪽으로 방향을 전환해 넉달 반 동안 우주여행을 할 다누리는 최대 9차례 추력기를 통해 이동 방향을 조정한다.
그중 첫번째 기동은 발사 이틀 뒤인 오는 7일 이뤄진다. 가장 중요한 방향 전환은 다음달 2일 진행된다. 다누리는 이 시점에 지구에서 156만㎞ 떨어진 라그랑주포인트(태양과 지구의 당기는 힘이 0이 되는 지점)에 이른다. 이때 다누리의 속도는 초속 0.17㎞까지 감속돼 이동 방향을 완전히 전환한 뒤 달을 향한 항해를 시작한다.
오태석 차관은 “달에 갈 때 많이 이용하는 방식으로 가면 한달밖에 안 걸리지만, 연료 소비가 커져 678㎏의 다누리 임무기간이 3~6개월로 줄어든다”며 “(이것이)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현재의 방식(탄도형 달 전이궤도·BLT)을 채택한 이유”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에 확보한 기술을 2031년으로 계획된 한국의 달 착륙선 운용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이궤도를 따라 이동한 뒤 다누리는 오는 12월16일께 달에 도착해 12월31일까지 달 상공 100㎞ 원궤도 진입을 시도한다. 성공적으로 목표궤도에 안착하면 다누리는 탑재된 6종의 과학장비로 내년 1월부터 1년 동안 하루 12번씩 달을 돌며 달을 관찰한다. 구체적으로 달 착륙 후보지 탐색, 우주인터넷 시험, 달 표면광물 분석, 자기장·방사선 관측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우주인터넷 시험에서는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노래 ‘다이너마이트’ 뮤직비디오 파일을 재생해 지구로 보내는 시험이 이뤄진다. 또 탑재 장비 중 하나인 미국 나사의 음영카메라(섀도캠)를 통해 달의 극지역의 영구 음영지역을 탐색하면서 얼음(물) 등 다양한 물질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
이날 미국 발사 현장에서 다누리 발사를 지켜본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구 중력을 처음으로 벗어나 달로 향하는 다누리는 대한민국 우주탐사 역사의 첫 걸음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2-08-05 18:18:30 qa에서 복사 됨]
5일 오전 8시8분48초 미국 플로리다에서 발사
항우연 지상국 교신에서 달 전이궤도 진입 확인
넉달반 뒤 달 궤도 안착하면 과학탐사 임무 시작
한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가 5일 오전 발사돼 달을 향해 가는 전이궤도에 순조롭게 진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누리가 4개월 반 동안의 ‘우주여행’을 거쳐 오는 12월말을 목표로 하는 달 궤도 진입에 성공하면 한국은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 일본, 중국, 인도에 이어 7번째 달 탐사국이 된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달 탐사선 다누리가 예정대로 오전 8시8분48초에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돼 달 전이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다누리는 발사 40분 뒤인 오전 8시48분께 고도 703㎞ 지점에서 발사체인 스페이스엑스의 팰컨9에서 분리돼 초속 10.5㎞의 속도로 우주비행에 돌입했다. 이어 발사 1시간32분 뒤인 오전 9시40분께는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에 있는 지상국과 첫 교신이 이뤄졌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수신된 위성정보를 분석한 결과 다누리의 태양전지판이 펼쳐져 전력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탑재컴퓨터 등 장치들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뤄지는 등 다누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달로 직진하지 않고 태양쪽으로 갔다가 달쪽으로 방향을 전환해 넉달 반 동안 우주여행을 할 다누리는 최대 9차례 추력기를 통해 이동 방향을 조정한다.
그중 첫번째 기동은 발사 이틀 뒤인 오는 7일 이뤄진다. 가장 중요한 방향 전환은 다음달 2일 진행된다. 다누리는 이 시점에 지구에서 156만㎞ 떨어진 라그랑주포인트(태양과 지구의 당기는 힘이 0이 되는 지점)에 이른다. 이때 다누리의 속도는 초속 0.17㎞까지 감속돼 이동 방향을 완전히 전환한 뒤 달을 향한 항해를 시작한다.
오태석 차관은 “달에 갈 때 많이 이용하는 방식으로 가면 한달밖에 안 걸리지만, 연료 소비가 커져 678㎏의 다누리 임무기간이 3~6개월로 줄어든다”며 “(이것이)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현재의 방식(탄도형 달 전이궤도·BLT)을 채택한 이유”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에 확보한 기술을 2031년으로 계획된 한국의 달 착륙선 운용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이궤도를 따라 이동한 뒤 다누리는 오는 12월16일께 달에 도착해 12월31일까지 달 상공 100㎞ 원궤도 진입을 시도한다. 성공적으로 목표궤도에 안착하면 다누리는 탑재된 6종의 과학장비로 내년 1월부터 1년 동안 하루 12번씩 달을 돌며 달을 관찰한다. 구체적으로 달 착륙 후보지 탐색, 우주인터넷 시험, 달 표면광물 분석, 자기장·방사선 관측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우주인터넷 시험에서는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노래 ‘다이너마이트’ 뮤직비디오 파일을 재생해 지구로 보내는 시험이 이뤄진다. 또 탑재 장비 중 하나인 미국 나사의 음영카메라(섀도캠)를 통해 달의 극지역의 영구 음영지역을 탐색하면서 얼음(물) 등 다양한 물질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
이날 미국 발사 현장에서 다누리 발사를 지켜본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구 중력을 처음으로 벗어나 달로 향하는 다누리는 대한민국 우주탐사 역사의 첫 걸음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2-08-05 18:18:30 qa에서 복사 됨]
- 이전글50년 만에 아폴로 잇는 아르테미스 1호, 오늘 밤 달 향해 출발 22.08.29
- 다음글국경일 22.07.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