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에 낀 범고래 구조작전… 6시간 동안 물 뿌리며 지켰다
작성일 21-08-02 19:25
페이지 정보
작성자최고관리자 조회 4,370회 댓글 0건본문
지난달 29일(현지 시각) 오전 알래스카주 프린스오브웨일스섬 해안에서 무려 6시간 동안 구조작업을 벌여 바위 틈에 끼어 목숨을 잃을 위기에 처한 범고래를 구한 사연이 전해졌다./neilson_tara 트위터
알래스카의 한 해안에서 무려 6시간 동안 구조작업을 벌여 바위 틈에 끼어 목숨을 잃을 위기에 처한 범고래를 구한 사연이 전해졌다.
뉴욕타임스, 데일리메일 등에 따르면 지난달 29일(현지 시각) 오전 알래스카주 프린스오브웨일스섬 해안을 찾은 한 방문객이 거대한 범고래 한 마리가 바위 틈에 끼어있는 걸 발견했다.
당시 바위 틈에 끼어있는 범고래./neilson_tara 트위터
당시 바위 틈에 끼어있는 범고래./neilson_tara 트위터
방문객은 범고래를 발견하고 미국 국립해양대기관리국(NOAA)에 즉시 신고했다. 이후 오전 9시쯤 도착한 NOAA구조대는 몸길이 약 6m인 이 범고래는 생후 13년 정도 된 것으로 추정했다. 이어 그가 바위에 끼어 바다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구조대는 당시 해당 해안에 있던 개인 요트 선장 첸스 스트릭랜드와 그 선원들, 그리고 방문객 아론 멜레인과 함께 범고래 구조작전을 펼쳤다.
아론은 구조 당시 모습을 담은 영상을 지난 1일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공개했다.
/aroonmelane 틱톡
/aroonmelane 틱톡
아론이 공개한 영상을 보면 사람들은 먼저 바다로 돌아가기 전까지 범고래의 피부가 마르지 않도록 양동이로 바닷물을 퍼 범고래에 뿌려줬다. 그러는 동안 스트릭랜드 선장과 선원들은 고래가 움직일 때 재빨리 바다로 내보낼 수 있는 통로를 마련했다.
사람들이 손에서 손으로 바닷물이 든 양동이를 옮겨 날라 몸에 끼얹어주자 미동도 않던 범고래는 그제야 조금씩 움직임을 보였다. 범고래는 자기 몸에 물이 닿을 때마다 꼬리를 움직이고 소리를 내는 등 반응을 했다.
이어 구조대가 호스와 펌프를 이용해 범고래에게 바닷물을 계속해서 분사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범고래의 피부가 마르는 것도 막고, 움직이지 못하는 범고래를 새들이 먹이로 인식해 쪼거나 공격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었다.
범고래는 마침내 밀물이 바위까지 차올랐을 때 스스로 헤엄쳐 다시 바다로 돌아갔다. 여기까지 범고래 구조작업은 장장 6시간가량이 걸렸다.
NOAA 대변인 줄리 페어는 “바닷물이 다시 들어오자 범고래가 천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윽고 그는 헤엄쳐 나갔다”며 “현장 주변에 있던 선장과 선원,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범고래를 구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한편 범고래가 바위에 낀 것에 대해 지난 28일 알래스카 해안에서 발생한 규모 8.2의 강진과 관련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페어 대변인은 지진과 범고래가 해안가로 올라온 것 사이에는 특별한 연관성이 보이지는 않는다고 전했다.
알래스카의 한 해안에서 무려 6시간 동안 구조작업을 벌여 바위 틈에 끼어 목숨을 잃을 위기에 처한 범고래를 구한 사연이 전해졌다.
뉴욕타임스, 데일리메일 등에 따르면 지난달 29일(현지 시각) 오전 알래스카주 프린스오브웨일스섬 해안을 찾은 한 방문객이 거대한 범고래 한 마리가 바위 틈에 끼어있는 걸 발견했다.
당시 바위 틈에 끼어있는 범고래./neilson_tara 트위터
당시 바위 틈에 끼어있는 범고래./neilson_tara 트위터
방문객은 범고래를 발견하고 미국 국립해양대기관리국(NOAA)에 즉시 신고했다. 이후 오전 9시쯤 도착한 NOAA구조대는 몸길이 약 6m인 이 범고래는 생후 13년 정도 된 것으로 추정했다. 이어 그가 바위에 끼어 바다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구조대는 당시 해당 해안에 있던 개인 요트 선장 첸스 스트릭랜드와 그 선원들, 그리고 방문객 아론 멜레인과 함께 범고래 구조작전을 펼쳤다.
아론은 구조 당시 모습을 담은 영상을 지난 1일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공개했다.
/aroonmelane 틱톡
/aroonmelane 틱톡
아론이 공개한 영상을 보면 사람들은 먼저 바다로 돌아가기 전까지 범고래의 피부가 마르지 않도록 양동이로 바닷물을 퍼 범고래에 뿌려줬다. 그러는 동안 스트릭랜드 선장과 선원들은 고래가 움직일 때 재빨리 바다로 내보낼 수 있는 통로를 마련했다.
사람들이 손에서 손으로 바닷물이 든 양동이를 옮겨 날라 몸에 끼얹어주자 미동도 않던 범고래는 그제야 조금씩 움직임을 보였다. 범고래는 자기 몸에 물이 닿을 때마다 꼬리를 움직이고 소리를 내는 등 반응을 했다.
이어 구조대가 호스와 펌프를 이용해 범고래에게 바닷물을 계속해서 분사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범고래의 피부가 마르는 것도 막고, 움직이지 못하는 범고래를 새들이 먹이로 인식해 쪼거나 공격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었다.
범고래는 마침내 밀물이 바위까지 차올랐을 때 스스로 헤엄쳐 다시 바다로 돌아갔다. 여기까지 범고래 구조작업은 장장 6시간가량이 걸렸다.
NOAA 대변인 줄리 페어는 “바닷물이 다시 들어오자 범고래가 천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윽고 그는 헤엄쳐 나갔다”며 “현장 주변에 있던 선장과 선원,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범고래를 구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한편 범고래가 바위에 낀 것에 대해 지난 28일 알래스카 해안에서 발생한 규모 8.2의 강진과 관련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페어 대변인은 지진과 범고래가 해안가로 올라온 것 사이에는 특별한 연관성이 보이지는 않는다고 전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